계급차이를 상징하는 반지하와 단독주택 대비 구조
'기생충'에서 관객들이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공간'입니다. 반지하에서 궁핍하게 사는 김기택 가족과 고급스러운 단독주택에 사는 박사장 가족은 작품 전반에 걸쳐 대비되어 보입니다. 이는 단순한 배경을 넘어, 대한민국의 경제적인 빈부 격차와 사회적 계급 구조를 나타내는 핵심 요소입니다. 김기택 가족의 반지하 집은 어둡고 음침한 곳이며, 햇빛도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창밖으로는 노상방뇨를 하는 사람들을 발견하는 날도 있습니다. 이와 달리, 박사장 가족의 대저택은 계획적으로 설계된 럭셔리한 공간으로, 햇빛이 잘 들어오는 마당이 있습니다.
이렇듯 대비되는 공간의 배치는 한국사회의 양극화된 모습을 상징합니다. 특히 장마가 심할 때 겪게되는 현실이 상반된 모습을 표현됩니다. 김기택 가족은 장마로 인해 집에 물이 가득 차고 온갖 집기들이 물에 젖어서 삶의 터전이 파괴됩니다. 한편, 박사장 가족의 집은 비가 내려도 타격이 없습니다. 오히려 장마가 흙냄새를 선사하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도록 해줍니다. 이 작품은 조명, 카메라 각도, 음향 등을 섬세하게 연출해 상반된 두 가정의 공간을 보여줄 때 마다 다른 느낌을 선사합니다. 이렇듯 구체적인 공간 연출은 관객들이 "나의 위치는 두 곳 중 어디쯤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도록 해줍니다.
서비스업 노동자들에 대한 사회적인 시각
박사장 가족의 평화로운 일상은 서비스업을 하는 여러 직원들로 인해 유지가 됩니다. 운전기사, 가정부, 과외선생님 등 다양한 인물들이 있지만, 박사장 가족들은 그들의 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전직 가정부의 남편이 지하실에 숨어 무임금 노동을 제공하면서 힘들게 살아가는 장면 또한 이러한 태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특히 김기택 가족에게 '냄새'가 난다고 표현하는 장면은 서비스 노동자들을 무시하는 그들의 태도를 더 명확하게 드러내줍니다. 여기서 '냄새'는 단순히 후각적인 부분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서비스 노동자들에 대한 전체적인 거부감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입니다. 경비원, 청소부 등과 같은 소외 계층들이 우리 사회에서 꼭 필요한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합당한 대우를 받고 있지 못한 현실을 나타냅니다. 봉준호 감독은 이러한 장면들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분들이 경험하는 소외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박사장 가족이 초호화 디너를 먹는 모습과 온 가족이 상자를 접으면서 푼돈을 모으는 김기택 가족의 모습을 대조하면서 '불균형적인 노동가치'를 보여줍니다. 또한 파티하는 장면에서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비 때문에 귀가가 어려워진 운전기사를 걱정하는 대신, 그를 대체할 기사를 찾는 박사장의 모습을 통해 서비스 노동자를 단지 '갈아 끼울 수 있는 부품'으로 보는 사회의 시선을 보여줍니다.
변화된 가족의 의미
영화 '기생충'은 한국 사회에서 퇴색된 가족의 의미를 보여줍니다. 김기택 가족은 제 3자가 보기에는 매우 끈끈한 가족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전통적인 혈연 공동체가 아닌, 생계를 위한 경제공동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직적으로 움직이면서 각자의 역할을 하지만, 감정적인 교류를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정'의 미술치료선생님 행세, '기우'의 조작된 증명서 등으로 온 가족이 사기극을 벌이는 모습은 진정한 가족의 모습이라기보다는 그저 경제적인 목표를 위한 파트너십을 보여줍니다.
한편, 박사장 가족은 겉으로 보기엔 화목한 가정처럼 보이지만, 가족 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은 피상적입니다. 부부와 자녀들과의 관계는 형식적이며, 부부는 서로 깊은 감정적 교류를 하지 않습니다. 모든 문제를 금전적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이렇듯 봉준호 감독은 확연히 다른 두 가족을 통해 경제적 수준에 따라 가족의 성격이 어떻게 상이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부유한 가족은 금전적으로는 풍족하지만 감정적 교류가 약합니다. 한편, 가난한 가족은 생계를 위해 결속하지만, 진정성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가족의 의미가 단순히 정신적인 안식처를 넘어, 경제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구성원으로서의 의미가 커졌음을 섬세하게 표현합니다.
영화의 '키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 생일파티 장면은 가족에 대해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줍니다. 어떤 가정의 화목함 뒤에는 다른 가족의 노동 착취와 희생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