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둠속의 댄서의 스토리, 대비효과, 인물 상징

by 콘텐츠디자이너클레어 2025. 8. 9.
반응형

어둠속의 댄서의 스토리, 대비효과, 인물 상징
어둠속의 댄서의 스토리, 대비효과, 인물 상징

 

<어둠 속의 댄서>의 3막 구조 스토리

 

‘어둠 속의 댄서’라는 영화는 개봉된 지 25년 정도 된 작품이지만, 여전히 우수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가수 비요크가 여자주인공으로 출연하고 OST를 불렀습니다. 뮤지컬과 비극적인 드라마가 혼재된 느낌이 드는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3막 구조의 스토리를 따릅니다. 1막에서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과 배경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체코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온 '셀마'는 점점 시력을 잃게 되는 유전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어린 아들도 동일한 병을 앓게 될 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들은 자신과 다르게 좋은 시력을 유지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공장에서 힘든 노동을 하면서 수술비를 차곡차곡 모아갑니다. 이렇게 힘든 상황에서도 공장에서 들리는 소음들을 아름다운 음악이라고 상상하며 머릿속에서 춤을 추며 견뎌냅니다. 2막에서는 집주인과 셀마의 갈등상황이 연출됩니다. 집주인은 셀마가 몰래 모아둔 돈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그것을 훔쳐서 자신의 빚을 갚으려고 합니다. 돈을 훔쳐가는 그를 필사적으로 막으려는 그녀는 실수로 그를 죽이게 됩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녀는 살인자로서 법정에 서게 됩니다. 3막에서는 그녀가 재판을 받고 죽음에 이르는 비극적인 장면이 연출됩니다. 그녀는 교수대로 향하면서 슬픈 마지막 노래를 부르고, 화면이 어두워지면서 영화가 끝나게 됩니다. 

뮤지컬 장면과 현실 장면의 대비효과

이 작품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뮤지컬 장면의 삽입 방식입니다. 그녀는 시력을 점차 잃어가면서 시야가 흐릿해지는 악조건 속에서도 머릿속에서 황홀하고 뚜렷한 자신만의 무대를 만들어냅니다. 사람들이 걷는 소리, 공장에서 들려오는 기계들이 부딪히는 소리, 레일 위를 기차바퀴가 달릴 때의 리듬감은 그녀의 머릿속에서 새로운 음악을 만듭니다. 카메라는 이러한 뮤지컬 장면들에서 색감을 화려하게 연출하고, 여러 가지 카메라로 촬영한 다양한 장면들을 이어 붙입니다. 이를 통해 신속하고 리듬감 있는 편집을 완성해 냅니다. 이러한 장면들을 통해 관객들은 셀마의 내면세계를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판타지 세계의 무대가 없어지면서 다시 그녀의 흐릿한 시야와 절망적인 배경으로 바뀌면 관객들은 그녀가 현실세계에서 마주하는 비관적인 세계를 함께 마주하게 됩니다. 이러한 대비구조는 셀마가 어두운 현실을 탈출하고 싶어 하는 절실함과 이러한 탈출이 장기적일 수는 없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감독인 라스 폰 트리에는 이러한 장면 대비를 통해 꿈을 통해 우리의 삶은 진정으로 달라질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한편으로 일시적이라도 어떤 이가 희망을 품게 하는 요소일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인물과 OST의 상징

‘어둠 속의 댄서’라는 영화 제목에서 '어둠'은 여러가지를 상징합니다. 우선, 셀마의 시력이 점점 흐릿해지고 있음을 말해줍니다. 둘째, 그녀의 삶이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지고 있음을 암시하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두려움을 의미합니다. 한편 '댄서'는 그러한 상황과는 상관없이 자신만의 무대를 상상하고 희망을 끝까지 잃지 않고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말해줍니다. 셀마의 안경은 그녀와 그녀가 마주하는 세계의 경계를 상징합니다. '셀마' 외의 주요 등장인물은 그녀의 아들 '진'과 그녀가 의도치 않게 살해하게 된  집주인 '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빌'은 사람이 경제적으로 힘들면서 도덕적으로 나약해질 때 얼마나 쉽게 이웃에게 나쁜 마음을 먹을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반면 그녀의 아들 '진'은 그녀가 희망을 잃지 않고 끝까지 살아가게 해주는 중요한 인물입니다. 셀마가 사형을 당하는 장면에 나오는 'Next to Last Song' 이라는 노래는 마지막까지 혼신의 힘으로 사랑을 완성해 내는 셀마의 심정을 드러냅니다. 한편 사회적 약자가 충분히 정당하게 보호받지 못하는 사법제도를 비판하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결과적으로 이 영화는 아들에 대한 한 희생을 보여주는 어머니의 사랑을 뮤지컬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