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터미널> 실존인물, 현실문제, 공항의 상징

by 콘텐츠디자이너클레어 2025. 8. 6.
반응형

&lt;터미널&gt; 실존인물, 현실문제, 공항의 상징
<터미널> 실존인물, 현실문제, 공항의 상징

영화 '터미널'의 실존인물, 메르한 카리미 나세리

'터미널'은 '메르한 카리미 나세리'라는 이란 출신의 난민이 겪은 실화를 토대로 한 영화입니다. '나세리'는 이란을 떠나 난민지위를 인정받기 위해 유럽의 다양한 국가를 돌아다니던 중에 관련 서류를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입국과 출국 모두 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국가인 이란으로도 돌아가지 못하고 2006년까지 약 18년 동안 프랑스의 샤를 드골 국제공항의 환승 구역에서 생활해야 했습니다. 실 그의 사정을 알고 유엔난민기구와 프랑스에서 체류를 제안해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나세리는 해당 서류에 자신의 성명이 실제와 다르게 기입되었다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를 들며 거부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단순히 그의 고집이 세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정체성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끝까지 지켜내기 위한 노력이었습니다. 실제로 공항에서 그는 자신만의 루틴을 이어나가며 생활했습니다. 책도 읽고 일기도 쓰면서 매일을 충실하게 보냈습니다. 이렇듯 공항을 자신의 집처럼 여기며 생활하는 그의 모습이 알려지면서, 전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유명해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헐리우드에서도 그의 안타까운 스토리에 주목하게 되었고 '터미널'이라는 영화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영화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현실 문제

실존 인물인 '카리미'는 이란 사람이고, 프랑스 샤를 드골 공항에서 칩거했지만, 영화에서는 이런 부분들이 각색되어 표현되었습니다. 주인공인 '빅토르 나보르스키'는 가상의 동유럽 국가에서 온 사람인데, 해당 국가가 쿠데타를 겪으며 아예 사라지게 되면서 여권이 효력을 잃게 되어 뉴욕 JFK 공항에 머물게 되는 이야기로 그려졌습니다. 그는 실존 인물 '나세리'와는 조금 다르게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표현됩니다. 영어를 공부하고 공항의 직원들과 친한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일자리까지 구합니다. 하지만, '나세리'는 좀 더 어둡고 외로운 생활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을 겪었고, 반복적이고 폐쇄적인 공간에서 일상을 보냈습니다. 영화에서는 감동적인 서사를 위해 '빅토르'가 경험하는 일상의 소소한 행복들, 다른 공항 사람들과의 아름다운 관계를 중점적으로 보여주며, 유머도 곳곳에 적절히 섞여있습니다. 이와 달리 '나세리'는 복잡하게 얽힌 국제법 이슈와 국가 간의 부족한 소통, 서류상 발생하는 오류들 등 여러 이슈들을 많이 겪으며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이렇듯 가장 큰 차이가 있다면, 영화는 감동적인 스토리를 만들어 전달하지만, 현실에서는 인간의 정체성과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과, 이를 어렵게 하는 국제적인 상황들과 같은 문제가 존재했다는 것입니다.

공항이 상징하는 것

'나세리'가 무려 18년동안 머물렀던 공항이라는 공간은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는 회색지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항의 여러 공간 중에서도 환승 구역은 특히 소속이 불분명한 공간입니다. 그는 효력 있는 여권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입국 출국 모두 허용되지 않는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어떤 국가에도 속해있지 않은 상태로, 그리고 프랑스 체류자도 아닌 지위로 오랜 기간을 생활해야 했습니다. 즉, 공항의 환승 구역은 한 사람의 국적으로 인지되는 소속감과 정체성이 드러나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는 이러한 회색지대를 휴머니즘적인 공간으로 아름답게 보여줍니다. 주인공 '빅토르'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좌절하지않고 밝은 면을 보며 최선을 다해 매일을 살아갑니다. 낯선 이들과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일거리도 찾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찾으려고 노력합니다. 이는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충실히 살아가려는 인간의 의지력과 회복탄력성, 사회성 등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국 심리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아서 병원으로 이송되게 됩니다. 이로써 그의 기나긴 공항생활은 막을 내리게 됩니다. 공항에서 갇혀사는 답답함을 이겨내기 위해 그가 했던 노력들은 우리의 일상을 되돌아보게 합니다.

반응형